방아쇠 수지 증후군 – 손가락이 걸리는 느낌이 들 때 의심해야 할 질환
아침에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고 ‘딸깍’ 소리와 함께 풀린다거나,
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펼 때 통증이나 이물감이 느껴진다면
바로 방아쇠 수지 증후군(Trigger Finger)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이 질환은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고
그 힘줄이 통과하는 건막(힘줄터널)이 좁아지면서 마찰이 생기는 것이 원인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증상, 원인, 자가 진단법, 치료 방법, 수술 여부, 재활 및 예방법까지
2025년 기준 정형외과 치료 접근에 기반해 폭넓게 정리해드립니다.
1. 방아쇠 수지 증후군이란?
항목 내용
정의 |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‘딸깍’ 걸리는 느낌이 발생하는 힘줄 염증 질환 |
병리적 변화 | 굴곡건(힘줄)이 통과하는 A1 pulley(도르래 부위)가 좁아지거나 염증 발생 |
주로 발생 부위 | 엄지, 중지, 약지 순으로 흔하게 나타남 |
(한 손가락만 나타나거나, 여러 손가락에 동시에 발생 가능) |
2. 주요 증상 체크리스트
증상 설명
손가락 구부릴 때 '딸깍' 소리 또는 튕김 느낌 | 힘줄이 좁은 통로를 지날 때 마찰이 발생하며 생김 |
아침에 손가락이 뻣뻣하게 굳어 있음 | 주로 수면 후 부종으로 인해 통증이 심함 |
손가락이 구부러진 채로 펴지지 않음 | 심한 경우 손가락을 다른 손으로 펴야 할 정도 |
손가락 밑부분(손바닥 쪽)에 단단한 결절(혹) | A1 도르래 부위가 부어올라 만져짐 |
통증은 손가락보다 손바닥 부위가 더 민감 | 눌렀을 때 심한 통증 유발 |
✔ 초기에는 뻣뻣함 위주, 진행되면 기계적인 걸림 + 통증 동반
3. 방아쇠 수지 주요 원인
원인 설명
반복 사용 | 손가락을 많이 쓰는 직업군(가사노동, IT업무, 악기 연주자 등) |
당뇨병, 류마티스 관절염 | 염증성 질환 동반 시 위험도 증가 |
호르몬 변화 | 50대 이후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 |
(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 있음) | |
손 부위 외상 | 반복적인 미세 손상도 누적되면 발병 가능 |
✔ 특히 여성(중년),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, 당뇨 병력이 있는 경우 다빈도
4. 자가 진단법 –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의심하세요
- 아침에 손가락이 잘 안 펴진다
- 손바닥 밑부분을 눌렀을 때 ‘찌릿’하게 아프다
- 손가락을 구부리면 딸깍하면서 풀리는 느낌이 있다
- 손가락 끝이 아니라 밑둥 부위가 욱신거린다
- 손가락이 걸려서 다른 손으로 펴야 한다
→ 3가지 이상 해당 시 방아쇠 수지 가능성 높음
→ 정형외과 / 재활의학과 진료 권장
5. 치료 방법 – 비수술부터 수술까지
✅ 1) 보존적 치료 (초기/경증)
방법 설명
약물치료 | 소염진통제 (이부프로펜, 세레브렉스 등) 복용 |
스테로이드 주사 | A1 pulley 부위에 1회 주사 → 수일 내 통증 호전 |
→ 1~2회까지만 권장 | |
손 사용 줄이기 | 증상 부위 손가락을 가급적 사용 자제 |
냉찜질 or 온찜질 병행 | 염증기엔 냉찜질, 통증 완화기엔 온찜질 효과적 |
✔ 대부분 초기 치료만으로 60~70% 이상 호전 가능
✅ 2) 수술 치료 (중등도~고도 / 재발성)
수술명 설명
A1 pulley 절개술 | 걸림 원인이 되는 건막(A1 부위)을 절개해 공간 확보 |
수술 방법 | 국소마취 후 15분 내외 시술, 당일 퇴원 가능 |
회복 기간 | 실밥 제거까지 약 7일, 일상 복귀까지 1~2주 |
✔ 수술 후 재발 거의 없음, 비용 부담도 크지 않은 경미 수술에 해당
6. 재활 및 스트레칭 운동
- 손가락 부드럽게 펴기/구부리기 반복
→ 하루 3세트 이상, 통증 없는 범위에서만 진행 - 공 쥐었다 펴기 운동
→ 작은 말랑공(그립볼)으로 손 근육 강화 - 온찜질 후 마사지
→ 통증 부위 주물러주며 부종 완화
7. 방아쇠 수지 예방법
방법 설명
손가락 과사용 줄이기 | 스마트폰, 마우스, 설거지 등 반복 작업 시 중간에 휴식 |
손목·손가락 스트레칭 습관화 | 업무 전후 가볍게 관절 풀어주기 |
체온 유지 | 냉증 있는 분은 손 시리지 않게 장갑 착용 권장 |
손목 보호대 착용 | 증상 심할 때 밤사이 손가락 구부러지는 것 방지 |
자주 묻는 질문 Q&A
Q. 손가락 하나만 증상 있어도 치료해야 하나요?
A. 네. 진행되면 다른 손가락에도 연달아 발생하거나, 수술 범위가 커질 수 있으므로
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.
Q. 스테로이드 주사는 부작용 없나요?
A. 1~2회까지는 안전하나, 반복 주사 시 힘줄 약화·피부 함몰 등의 부작용 가능성 있습니다.
Q. 수술 후 재발은 없나요?
A. 대부분은 완치되며, 수술 후 재발률 1%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편입니다.
'질병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허리통증 원인 10가지 (0) | 2025.05.16 |
---|---|
오금이 아픈 이유 – 무릎 뒤쪽 통증의 원인과 질환별 의심 증상 정리 (0) | 2025.05.16 |
치질 자가치료법 – 약, 생활습관, 좌욕, 식이요법까지 통합관리 가이드 (0) | 2025.05.13 |
공막염 원인, 증상, 진단, 치료까지 총정리 (0) | 2025.05.09 |
난소암 초기증상: 조기 발견이 생존율을 좌우한다 (0) | 2025.05.07 |